23년 전 전투경찰대원으로 복무하면서 시위진압에 나섰다가 시위대가 휘두른 쇠파이프에 고환을 맞은 40대가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을 길이 열렸다.
대법원 1부(주심 고영한 대법관)는 전모(43)씨가 국가유공자로 인정해달라며 서울남부보훈지청장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전씨는 1991년 현역병으로 입영해 서울지방경찰청에서 전투경찰로 복무했다.
그는 이듬해 5월 남대문 앞에서 열린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시위 진압에 투입됐다가 진압 과정에서 시위대가 내리친 쇠파이프에 좌측 고환을 맞았다.
고환파열과 출혈로 수술을 받은 전씨는 1993년 전역했고, 20여년이 지난 2012년 좌측 고환이 위축됐다는 진단을 받았다.
고환 위축이 전경 복무 당시 시위대가 휘두른 쇠파이프에 맞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전씨는 보훈처에 국가유공자로 인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당하자 소송을 냈다.
1심은 전씨가 수술을 받고 상태가 호전돼 퇴원했고, 전역 후 20여년간 고환 관련 진료를 받은 적이 없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군 생활 당시 직무수행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그러나 항소심 재판부는 시위대에 가격당한 이후 그 후유증으로 고환 위축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재판부는 고환 위축이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상이등급에 해당하는지는 보훈처에서 추가로 심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전씨는 보훈처 신체검사를 통해 상이등급에 해당한다는 판정을 받으면 국가유공자가 된다.
'보훈법률 > 행정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 복무 당시 식중독과 장폐색 진단 및 수술 받았으나 인과관계 부족, 국가유공자 불인정 (0) | 2016.07.12 |
---|---|
파병 후 우울증과 외상후 스트레스, 국가유공자 대상으로 인정 못해 (1) | 2016.05.08 |
전몰/순직군경 유족, 상이군경보다 보상금 적다며 소송했으나 패소 (0) | 2015.12.20 |
국가유공자의 부인이 위장재혼 했다면 유족 인정 - 수원지법 (0) | 2015.11.26 |
제주지법 - 군부대 작업도중 부상은 보훈보상대상자가 아닌 국가유공자 (0) | 2015.08.29 |
국가유공자 유족 등록신청 이전에 남편 사망했다면 서면심사대상 (0) | 2015.06.01 |
연속적으로 야근 근무 중 과로사한 장교, 고법 - 국가유공자 인정 (0) | 2015.05.16 |
국가유공자유족 등록거부 처분취소 소송(의용특공대의 전몰군경 인정) (1) | 2015.05.15 |
국가유공자 등록신청 거부처분 취소 소송 (정신질환) (0) | 2015.05.13 |
자해행위로 인한 사망(자살)에 대한 국가유공자 비해당 처분 취소 소송 (0) | 201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