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지원/취업지원

국가유공자(상이군경) 창업지원 - 장애인교육지원시스템 (DEBC 창업넷)

깨알석사 2015. 6. 27. 04:18
반응형

 

 

[본 자료는 마늘쫑사단이라는 별칭으로 활동하는 국가유공자의 정보출처 제공으로 만들었습니다. 마늘쫑사단님이 까페지기로 있는 네이버 "청국장(청년 국가유공자 모임)에도 함께 기재합니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2015 장애인 창업 기초교육’ 수강생 600명을 마감 시까지 선착순 모집한다.

 

 

교육은 전국의 14개 지역 센터에서 받을 수 있으며 신청 기간은 센터별로 상이하다.

 

 

수강생은 창업 전반에 관한 기초 실무내용과 창업 트렌드 분석, 장애인기업 아이템발굴, 창업기업 마케팅 기법 등을 배우게 된다.

 

 

특히 참가비, 교재비, 중식비가 무상으로 지원되고 교육 수료 시 장애인 창업점포지원 사업 및 장애인기업 운영자금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장애인 예비창업자 또는 전업희망 장애인기업은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tart.debc.or.kr/)에서 접수를 할 수 있다.

 

 

문의: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02-2181-6500)

 

 

 

대한민국에서 법상 장애인의 정의에 포함되는 경우는 두가지 입니다.

복지법에 따른 등록 장애인과 보훈법에 따른 상이군경

 

장애인의 정의로서는 두 유형 모두 장애인에 해당하지만 각각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고 기존의 장애인 정책은 복지법에 한해 적용받는 사람에게 부여되기에 보훈법에 따른 상이군경은 제외 되었습니다. 다만 2015년 복지법 개정으로 상이군경도 장애인 등록이 공식적으로 가능하게 되었고 상이군경으로서의 국가유공자와 등록 장애인으로서의 장애인 복지수혜를 받게 됩니다.

 

 

물론 복지법과 보훈법에서 제공하는 장애와 관련한 부분이 중첩되는 경우 중복이용 및 중복제공은 불가능하고 겹치지 않는 항목에 한해서만 제공 받게 되죠. 가장 대표적인것이 장애인복지관이 되겠네요 (법상 장애인이지만 복지법의 등록 장애인이 아니기에 이용이 안되었죠)

 

 

복지법 개정 이전에도 장애인의 범주안에 들어가기에 중복되거나 보훈법에서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이 가능한 것이 기존에도 있었습니다. 장애인근로복지와 관련한 노동법에서는 복지법상의 장애인과 보훈법상의 상이군경을 모두 지원하고 있죠

 

 

개정과 상관없는 부분이 노동과 관련한 부분인데 노동은 복지법이나 보훈법이 아닌 노동부의 노동법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개정이 되고 상이군경도 장애인으로 편입이 가능한 부분이라 상이군경과 관련한 부분이 있나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 가서 찾아보니 국가유공자 항목이 있네요. 아마도 개정 전, 복지법상의 등록 장애인과 상관없이 "장애"라는 부분만 놓고 지원하는 본연의 목적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네요. 기존부터 적용하고 있었다는 것이죠 

 

 

 

장애명 빈도수 장애유형 누적평균
평가점수
창업자역량 누적평균
평가점수
지체장애(상지) 123 91.9 72.3
뇌병변장애 11 82.5 68.4
시각장애 31 72.3 74.7
청각장애 14 81.1 76.0
언어장애 2 83.0 71.0
지적장애 0 0 0
정신장애 0 0 0
자폐성장애 0 0 0
신장장애 3 100.0 81.7
심장장애 0 0 0
호흡기장애 2 80.0 65.5
간장애 1 100.0 84.0
안면장애 0 0 0
장루/요루장애 1 100.0 84.0
간질장애 0 0 0
국가유공자 0 0 0
지체장애(하지) 2 77.0 60.0

 

 

국가유공자 항목에서는 지원자 및 평가자가 없네요. 지원자가 없으니 평가를 받은 자가 없는게 당연하겠죠. 수가 적은건 기존 과거 누적 데이터가 아닌 2015년 현재의 데이터이기 때문에 진행중인 부분이라는 걸 감안하셔야 합니다.

 

 

지역명 빈도수 장애유형 누적평균
평가점수
창업자역량 누적평균
평가점수
서울 25 85.2 77.5
인천 19 91.2 76.7
대전 21 86.8 72.1
부산 11 91.9 74.4
울산 3 91.7 72.7
대구 6 96.5 71.2
광주 1 66.0 69.0
세종 0 0 0
경기 17 87.6 65.1
강원 39 88.9 74.8
충남 10 84.7 70.3
충북 11 88.4 66.5
경남 3 82.3 69.0
경북 8 97.4 82.6
전남 10 85.0 70.0
전북 7 91.3 78.9
제주 5 97.8 75.8

 

 

 

교육항목이 바리스타(커피숍 창업), 제과제빵, 도시농업, 안마, 게임개발, 모바일IT, 전통한지 등이 있고 센터내 창업보육실내 입주 사업도 있는 것 같습니다. 사무실이나 작업공간이 필요한 사람에게 좋은 제도죠. 기본 교육외 특화교육으로 네일아트나, 도서출판, 디저트, 공예등도 추가로 배치되어 있어 항목이 없더라도 한번쯤은 문의를 해보는게 좋겠습니다.

 

 

2014년 자료를 찾아보니 공상군경으로 6인이 교육수강을 지원 받았네요. 창업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장애인업종매칭시스템이란?

장애인업종매칭시스템은 장애인의 사회적진출 향상과 장애인창업의 비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궁극적인 목적을 기반으로, 예비창업자의 핵심역량과 창업업종에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창업 당사자의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자체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을 시스템 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창업에 대한 아이템 선정에서 준비 사항에 대한 포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종합시스템입니다.

장애인업종매칭시스템 목적

장애인 창업자의 개인 역량과 창업업종의 정보를 분석 제공 창업 장애인의 포괄정보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지원 창업의 시작에서부터 준비 사항에 대한 시스템적 지원

장애인업종매칭시스템 제공 내용

  • 1. 창업업종 정보
    • - 다양한 창업의 업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제공
    • - 해당 업종별 필요한 자금, 역량, 정보를 제공
  • 2. 최적의 창업업종 매칭
    • - 장애유형 분석, 창업자의 역량 분석을 종합적으로 매칭하여 최적의 업종 아이템 제공
  • 3. 회원만의 분석/평가 정보 관리
    • - 회원이 정보(창업자금, 희망업종, 평가정보, 역량정보)를 온라인으로 관리
    • - 창업업종 매칭 결과보고서 제공

장애인업종매칭시스템 활용 절차

  1. 회원가입

    본 시스템에 접속하여 "MY매칭시스템" 또는 우측 상단의 "Join" 메뉴를 선택
    회원가입을 위한 내용을 입력
  2. 시스템 로그인

    본 시스템에 접속하여 "MY매칭시스템" 또는 우측 상단의 "Join" 메뉴를 선택
    회원가입 시 입력한 아이디/비밀번호로 로그인
  3. 창업진단등록

    상단 메뉴의 "창업진단" 선택 → "창업진단등록" 메뉴를 선택
    창업진단등록을 위한 "제목" 입력 → 최적의 업종 아이템을 매칭하기 위한 평가 항목 입력
  4. 창업진단조회

    상단 메뉴의 "창업진단" 선택 → "창업진단조회" 메뉴를 선택
    창업진단등록 시 입력한 "제목"으로 분류된 진단 목록 확인 → 확인하고자 하는 진단 제목을 선택
  5. 업종결과보고서 확인

    상단 메뉴의 "창업진단" 선택 → "창업진단조회" 메뉴 선택 → 결과보고서를 보고자하는 진단
    제목 선택 → 진단 상세 정보에서 "추천아이템"의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여 결과보고서를 확인

 

 

신청지역

신청기관명 교육업종 직통번호

 

권역

 

지역

수도권역

서울 성북시각장애인복지관 안마원 02-923-4555
서울 한국지식경제진흥원(주) 스마트 앱 & 게임개발 창업 02-556-1592
인천 한국장애경제인협회인천지회 커피 바리스타 032-424-4720
오산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리스타 및 제과제빵 031-379-0241
중부권역 대전 (사)한국농아인협회 대전광역시협회 커피 바리스타 042-673-1518
청주 예심복지재단 커피 바리스타 070-4655-0193
강원 상지영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통한지공예 033-734-5705
남부권역 경주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도시농업기반 재배생산기술 054-770-2971
양산 사)장애인경제활동 지원센터 커피 바리스타 070-8800-5133
부산 동의과학대학교 커피 & 버블티창업 051-860-3242
대구 대구시각장애인복지관 안마원 053-526-9078
서부권역 광주 고구려대학 산학협력단 커피 바리스타 061-330-7402

 

 

 

장애유형과 상황

장애유형과 상황 폼
주요항목 진단내용 배점 평가입력
자립기능 일상생활(세면,식사,대소변 등)에서 가족도움 없이 혼자서 생활이 가능한가? 15



자립기능 개인의 용모ㆍ복장 등을 스스로 깨끗이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가? 5



운동기능 사업장에서 청소를 하거나 상품(음식)을 운반하고 포장하는 것이 가능한가? 5



운동기능 자가용 또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상품 구입 또는 배달이 가능한가? 5



언어기능 고객의 주문 및 요구사항을 듣고 다른 종업원에게 전달할 수 있는가? 15



언어기능 고객의 전화주문을 받거나 또는 거래처에 전화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는가? 10



작업기능 고객으로부터 주문받은 내용을 계산서(빌지)에 기록할 수 있는가? 15



작업기능 판매금액과 거스름돈을 암산 또는 계산기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가? 15



인지기능 상품의 종류와 가격을 기억하고 구별할 수 있는가? 10



사회기능 고객에게 말과 행동으로 인사를 하고 미소를 지을 수 있는가? 5






 

창업자역량

장애유형과 상황 폼
주요항목 진단내용 배점 평가입력
기술(지식) 아이템에 대한 충분한 기술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15



자금 창업자금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으며, 개인신용에 문제가 없는가? 15



마케팅 마케팅 또는 영업에 대한 경험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10



종업원관리 종업원을 모집/채용하고 관리해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가? 10



개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개발해 본 경험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원가/회계 원가계산 또는 경리업무의 경험 또는 지식 을 갖고 있는가? 5



구매(조달) 상품 또는 재료를 구매(조달)해 본 경험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분야에 대한 경험 또는 고객관리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상권(입지) 상권/입지분석을 통해 점포를 선정해 본 경험이나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진열/DP 상품을 진열하거나 디스플레이에 대한 경험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재고관리 상품이나 재료의 재고관리에 대한 경험 또는 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시설 및 관리 시설공사 및 건물수선 관리 등을 해 본 경험이 있는가? 5



인터넷(PC)활용 인터넷ㆍ이메일 활용과 PC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가? 10






 

창업자보유기술

창업자보유기술 폼
주요항목 진단내용 배점 평가입력
창업자보유기술 국가기술자격을 보유여부 10

창업자보유기술 민간자격을 보유여부 10

창업자보유기술 학교에서 전공여부 20

창업자보유기술 외부기간에서 교육여부 10

창업자보유기술 해당기술 경력 여부 40



창업자보유기술 타인으로부터 기술전수 여부 10

 

 

 

 

 

 

 

 

 

홈페이지 : http://start.debc.or.kr/

 

 

 

 

반응형